나이가 들면서 허리 통증이나 다리 저림을 단순히 노화 탓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은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의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속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압박되어 통증과 신경 증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노화로 인해 척추뼈, 관절, 인대가 두꺼워지거나 변형되면서 발생하며 중·장년층에서 흔히 진단된다.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허리 통증뿐 아니라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까지 이어지는 신경통이다. 이러한 증상들은 허리디스크와 비슷해 보이지만 두 척추질환은 원인과 세부적인 증상에서는 차이가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통증이 심해지고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완화된다. 반면 허리디스크는 허리를 굽힐 때 오히려 통증이 악화되고 자세와 상관없이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허리디스크는 급성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척추관협착증은 수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는 특징이 있어 초기에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척추관협착증을 단순한 노화 현상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돼 다리 마비나 대소변 장애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은 환자의 증상과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의심할 수 있으며 X-ray로 척추의 전반적인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척추관의 좁아진 정도와 신경 압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CT나 MRI 같은 정밀검사가 필수적이다.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증상의 정도와 진행 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척추관협착증 초기 단계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증상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꾸준한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으면 신경차단술 등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신경 주변에 항염증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완화하는 시술이다. 단,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통증이나 신경 증상이 심하다면 신경 감압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관협착증은 완벽한 예방은 어렵지만 생활습관 관리를 통해 진행을 늦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무거운 물건을 반복적으로 드는 행동을 피하며 꾸준한 허리 근육 강화 운동과 스트레칭을 실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적정 체중 유지 역시 척추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준다.
김태신 신촌연세병원 신경외과 과장은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한 노화 현상이 아니라 치료가 필요한 척추질환”이라며 “허리 통증이나 다리 저림이 반복된다면 조기에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향후 합병증을 막고 삶의 질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