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디스크는 더 이상 중장년층만의 질환이 아니다. 최근에는 20~30대에서도 통증으로 인해 병원에 방문해 목디스크 진단을 받는 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 노트북, 모니터를 오래 바라보는 생활 습관이 일상화되면서 경추에 무리를 주는 자세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개를 앞으로 내미는 ‘거북목’이나 경추의 C자 곡선이 사라진 ‘일자목’ 상태로 장시간 생활할 경우 디스크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목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목디스크의 정식 명칭은 경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경추 사이의 디스크가 돌출되어 주변 신경을 압박하며 통증을 유발한다.
초기에는 뻣뻣하거나 당기는 목의 불편감이 나타나지만, 점차 어깨나 팔, 손가락까지 저림 증상이 퍼지며, 심한 경우엔 근력 저하, 감각 이상, 두통, 어지럼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 변화는 갑자기 나타나기보다 오랜 시간 누적된 잘못된 자세와 생활습관에서 비롯된다.

서울바른세상병원 신경외과 전문의 배장호 원장은 “고개를 30도 숙이면 약 18kg, 60도 숙이면 약 27kg에 달하는 하중이 목에 가해지는데, 이는 평소 자세만으로도 경추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바른 자세 유지는 단순한 권장사항이 아니라 질환 예방의 핵심적인 요소다.
목디스크는 초기 단계에서는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치료법으로는 약물치료, 도수치료, 그리고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 같은 시술적 치료가 있다.
신경차단술은 특수 약물을 통해 부종과 염증을 가라앉히는 방식이며, 신경성형술은 카테터를 삽입해 직접 약물을 주입하고 유착을 박리하는 방식으로 통증 유발 원인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하지만 디스크가 완전히 탈출하거나,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지속될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배장호 원장에 따르면 최근에는 경추 인공디스크 치환술을 통해 움직임을 유지하면서도 통증을 해소할 수 있는 수술법이 시행되고 있다. 배 원장은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한 후 특수 제작된 인공디스크를 삽입해 경추의 운동성과 구조를 회복시키는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목디스크는 치료 이후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생활습관의 개선이 필수다. 장시간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경우 화면을 눈높이에 맞추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통해 목과 어깨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너무 높은 베개는 경추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방해하므로 낮고 편평한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걷기나 가벼운 근력운동을 병행하면 척추 주변 근육이 강화돼 디스크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배장호 원장은 “목디스크는 단순한 통증으로 여겨 방치하다 악화되는 사례가 많다”며 “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므로 증상이 지속된다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정희원 기자 happy1@sportsworldi.com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