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허리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과거에는 중장년층에서 주로 나타났지만, 요즘은 20~30대 젊은 연령층에서도 허리디스크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스마트폰과 컴퓨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나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습관, 무리한 운동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통증을 단순한 근육통이나 염좌로 오인해 방치하다가 병을 키우는 경우도 많다. 특히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증상이 비슷하지만 원인과 치료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중요하다.
허리디스크는 척추 뼈 사이의 디스크가 손상되며 내부 수핵이 빠져나와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주로 허리 통증과 함께 엉덩이, 다리까지 저리거나 무거운 느낌이 동반되며, 기침이나 재채기 시 통증이 심해지는 게 특징이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주로 50대 이상에서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이다. 허리를 숙이면 통증이 줄고 걷는 도중 다리가 저려 쉬어야 하는 증상이 흔하다. 젊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는 이유다.
허리디스크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건 정확한 진단과 단계별 치료계획이다. MRI 검사를 통해 디스크의 탈출 정도와 신경 압박 여부를 확인한 뒤, 초기에는 약물이나 도수치료로 충분히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증상이 재발하거나 통증이 지속되면 보다 적극적인 비수술 치료가 필요하다. 특히 디스크 3기 이상으로 진행된 환자에겐 주사나 시술적 접근이 효과적일 수 있다.
MRI는 허리디스크 진단에 있어 핵심 장비다. 단순 엑스레이로는 확인할 수 없는 신경 압박 부위, 디스크 탈출 상태, 염증 여부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MRI에서 이상 소견이 보이지 않아도 통증이 지속될 경우엔 진단적 신경차단술을 통해 병변을 찾는 경우도 많다. 증상과 영상 소견이 일치해야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초기 허리디스크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치료로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거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의 통증이 지속되면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 같은 비수술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신경차단술은 영상장비(C-arm)를 보면서 염증이 있는 신경 부위에 약물을 주입해 통증을 줄이는 방식으로, 시술 시간이 20분 내외로 짧고 국소마취로 진행되기 때문에 고령자나 만성질환자도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다.
신경성형술은 더 정밀하고 적극적인 시술이 필요할 때 선택되는 치료법이다. 꼬리뼈 부위로 지름 1~2mm의 특수 카테터를 삽입해 유착된 부위까지 접근한 뒤, 약물을 주입하고 유착을 풀어 신경 압박을 해소하는 방식이다. 실시간 영상으로 시술이 이뤄져 정확도와 안정성이 높고, 수술이 어려운 고령자나 수술을 원치 않는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이주환 서울바른세상병원 원장(신경외과 전문의)은 “MRI를 통해 디스크 병변과 증상이 일치하는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도 충분히 호전이 가능하지만, 통증이 계속된다면 환자에 맞는 비수술적 시술로 접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 부위를 직접 치료하는 방법”이라며 “적절히 시행하면 수술 없이도 일상생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두 시술 모두 절개 없이 진행되며, 흉터나 감염 위험이 적고 반복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당일 시술 후 바로 일상 복귀가 가능한 경우가 많고, 시술 효과는 수일 내에 확인되는 경우도 많다. 다만 시술 후 무리한 움직임이나 잘못된 자세를 반복할 경우 재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시술 이후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허리에 무리가 가는 자세는 피하고, 시술 후 1~2주간은 무리한 운동이나 음주를 자제해야 하며,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칭을 통해 허리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허리디스크는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지만, 조기 진단과 맞춤 치료를 통해 악화를 막고 건강한 일상으로의 회복이 가능하다. 증상이 있다면 방치하지 말고 신속히 전문의의 진단을 받아야 한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